8-12세 아이를 키우는 부모들은 아이가 유치원일 때보다 육아 부담이 줄어든 대신 교육과 사교육 비용이 증가하는 시기를 맞이합니다. 따라서 집에서 유연하게 할 수 있는 부업을 통해 가족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, 추가 수익을 창출하는 방법을 고민하는 분들이 많습니다. 다행히 최근에는 온라인 기반의 부업이 활성화되어 있어, 집에서도 안정적인 수익을 만들 수 있는 다양한 기회가 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8-12세 아이를 키우면서 할 수 있는 현실적인 부업의 종류, 예상 수익, 정부 지원 정책을 정리해보겠습니다.
1. 8-12세 아이를 키우면서 할 수 있는 부업 종류
아이들이 초등학교에 입학하면 비교적 긴 등교 시간을 확보할 수 있어, 집에서 할 수 있는 재택근무형 부업이나 창업형 부업이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. 또한, 아이가 방과 후 학습을 하거나 학원에 가는 동안 활용할 수 있는 시간도 많아집니다. 다음은 부모들이 육아와 병행하며 할 수 있는 대표적인 부업들입니다.
① 블로그·유튜브·SNS 콘텐츠 제작
요즘 부모들은 온라인에서 정보를 찾고, 제품을 비교하며, 유용한 팁을 공유하는 문화가 익숙합니다. 따라서 블로그나 유튜브를 운영하면서 육아, 교육, 가정 경제 관리, 요리법 등을 공유하면 좋은 반응을 얻을 수 있습니다.
- 블로그: 구글 애드센스, 제휴 마케팅, 협찬 콘텐츠 수익화
- 유튜브: 광고 수익, 브랜드 협업, 제품 리뷰
- 인스타그램/TikTok: 팔로워 증가 후 협찬 및 제휴 광고 진행
② 온라인 강의 및 과외 (줌 수업, 1:1 지도)
부모가 가진 재능을 활용해 온라인 강의를 진행할 수도 있습니다. 예를 들면,
- 영어, 수학, 독서 지도 등의 기초 교육
- 미술, 음악, 베이킹, 코딩 같은 취미 교육
- 부모 대상 재테크, 자기계발 강의
줌(Zoom)이나 네이버 클래스 같은 플랫폼에서 수업을 운영하면 비교적 빠르게 수익을 만들 수 있습니다.
③ 온라인 쇼핑몰 및 스마트스토어 운영
온라인 쇼핑몰은 초기 투자금이 적고, 재고 부담 없이 운영할 수 있는 위탁판매 모델이 많아 육아와 병행하기 좋은 부업입니다.
- 육아 용품, 교육 교구 판매
- 핸드메이드 제품(천연 비누, 수제 간식, 액세서리 등) 판매
- 해외 직구 및 리셀링 (트렌드 제품 구매 후 국내 재판매)
④ 글쓰기·번역·디자인 및 프리랜서 활동
아이들이 학교에 간 시간 동안 컴퓨터만 있으면 가능한 부업도 인기입니다.
- 콘텐츠 작성 (블로그 대행, 전자책 출판)
- 번역 및 영상 자막 제작 (영어, 일본어, 중국어 가능자)
- 디자인 및 편집 (포토샵, 일러스트레이터 활용 가능자)
2. 예상 수익
부업을 시작할 때 가장 궁금한 점은 실제로 얼마나 벌 수 있는지입니다. 부업의 수익은 노력, 시간 투자, 경험 등에 따라 달라지지만, 대략적인 예상 수익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.
① 블로그·유튜브·SNS 콘텐츠 제작 수익
블로그, 유튜브, 인스타그램 등의 온라인 콘텐츠 제작은 꾸준히 운영할수록 수익이 증가하는 부업입니다.
- 블로그 수익 (구글 애드센스 + 제휴 마케팅)
- 하루 방문자 500명 이상 → 월 30~50만 원
- 하루 방문자 1,000명 이상 → 월 70~100만 원
- 협찬 콘텐츠 1건당 5~50만 원 (기업과의 계약에 따라 차이)
- 유튜브 수익 (광고 수익 + 협찬)
- 구독자 1,000명 + 연간 시청 시간 4,000시간 → 광고 수익 발생
- 월 조회수 10만 회 기준 → 월 50~100만 원 수익
- 협찬 영상 1건당 30~100만 원 (콘텐츠 영향력에 따라 차이)
- SNS(인스타그램, 틱톡 등) 수익
- 팔로워 1만 명 이상 → 협찬당 5~30만 원
- 팔로워 5만 명 이상 → 협찬당 50~100만 원
✅ 예상 수익: 블로그·유튜브·SNS를 6개월 이상 운영하면 월 300만 원 가능
② 온라인 강의 및 과외 수익
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온라인 강의나 과외는 빠르게 수익을 만들 수 있는 부업입니다.
- 1:1 줌 강의 (영어, 수학, 독서 지도 등)
- 1회 1시간 강의당 10만 원
- 주 3회 진행 시 월 30만 원, 주 5회 진행 시 월 100만 원
- 온라인 강의 플랫폼(클래스101, 탈잉, 크몽 등) 강의 업로드
- 강의 1건당 10~50만 원 (수강생 수에 따라 차이)
- 인기 강의의 경우 월 50~200만 원까지 가능
✅ 예상 수익: 초기에 학생을 모집하는 데 시간이 걸릴 수 있지만, 안정적인 고객층을 확보하면 월 50~200만 원 가능
③ 온라인 쇼핑몰 및 스마트스토어 수익
온라인 스토어 운영은 제품 판매량에 따라 수익이 다르게 나타납니다.
- 위탁판매 방식 (재고 없이 운영)
- 하루 5개 판매 시 월 10~50만 원
- 하루 10개 이상 판매 시 월 100만 원 이상 가능
- 핸드메이드 제품 (비즈 액세서리, 홈데코 제품 등)
- 제품당 1~3만 원 수익
- 월 50개 이상 판매 시 50~150만 원 가능
✅ 예상 수익: 운영 초기에는 월 10만 원이지만, 1년 이상 꾸준히 운영하면 월 100~300만 원 가능
④ 글쓰기·번역·디자인 및 프리랜서 활동 수익
컴퓨터만 있으면 가능한 부업은 비교적 적은 시간 투자로도 수익 창출이 가능합니다.
- 콘텐츠 작성 (블로그 대행, 전자책 출판 등)
- 블로그 글 1건당 3~10만 원
- 전자책 출판 시 월 10~50만 원 추가 수익 가능
- 번역 및 영상 자막 제작 (영어, 일본어, 중국어 가능자)
- 짧은 문서 번역 1건당 5~20만 원
- 영상 자막 제작 1건당 10~50만 원
- 디자인 및 편집 (포토샵, 일러스트레이터 활용 가능자)
- 로고 디자인 1건당 10~30만 원
- SNS 콘텐츠 제작 1건당 5~15만 원
✅ 예상 수익: 업무량에 따라 다르지만, 프리랜서 활동만으로도 월 50~200만 원 가능
3. 8-12세 부모를 위한 정부 지원 정책
아이를 키우면서 부업을 병행하려면 경제적인 부담을 줄이고, 안정적인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 정부 지원 정책을 잘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특히 초등학생 자녀를 둔 부모를 위한 다양한 지원 제도가 마련되어 있어, 이를 적극 활용하면 경제적 부담을 줄이면서 부업을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습니다.
① 초등학교 돌봄교실 지원
부업을 병행하는 부모들에게 가장 큰 고민 중 하나는 아이의 방과 후 돌봄입니다. 맞벌이 가정이나 부업을 하는 부모를 위해 정부에서 운영하는 초등 돌봄교실을 활용하면 아이가 안전한 환경에서 학습하고 놀이할 수 있습니다.
✅ 돌봄교실 주요 내용
- 초등학교 1~2학년을 대상으로 운영 (일부 학교는 3학년 이상도 가능)
- 운영 시간: 수업 종료 후 ~ 오후 7시까지
- 활동 프로그램: 숙제 지도, 독서 활동, 놀이 프로그램 등 제공
- 이용 요금: 저소득층 및 한부모 가정은 무료 지원, 일반 가정은 일부 비용 부담
🔹 추가 정보: 지역별로 운영 방식이 다르므로, 아이가 다니는 초등학교 또는 교육청 홈페이지에서 신청 가능
② 아동수당 및 교육 바우처 지원
정부는 아동을 키우는 가정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경제적 혜택을 제공합니다.
✅ 아동수당
- 지원 대상: 만 8세 미만의 모든 아동
- 지원 금액: 월 10만 원 (별도의 소득 제한 없음)
- 신청 방법: 주소지 관할 주민센터 또는 온라인(복지로 홈페이지) 신청 가능
✅ 방과 후 바우처
- 지원 대상: 저소득층 가정의 초등학생
- 지원 금액: 월 10~20만 원 상당의 방과 후 학습 비용 지원
- 사용 가능 분야: 영어·수학 등 교과 학습, 예체능, 창의력 개발 프로그램
🔹 활용 팁: 부업을 하면서 아이가 방과 후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도록 계획을 세우면 자녀 교육과 부업 운영을 동시에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
③ 여성 창업 및 경력단절 부모 지원
부업을 창업 형태로 운영하고 싶다면, 정부에서 제공하는 창업 지원금 및 컨설팅 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.
✅ 여성 창업 지원금
- 지원 대상: 여성 예비 창업자 및 소상공인
- 지원 내용: 창업자금 최대 1억 원 대출(저금리), 사업 컨설팅 및 마케팅 지원
- 신청 방법: 여성기업종합지원센터 및 각 지방자치단체의 창업 지원 프로그램 신청
✅ 경력단절 부모 재취업·재택근무 지원
- 재택근무 가능한 직무 교육 지원 (IT, 콘텐츠 제작, 디자인 등)
- 정부 지원 일자리 연계 (프리랜서, 온라인 강사, 상담사 등)
- 국비 지원 교육 후 취업 연계 가능 (온라인 마케팅, 소프트웨어 개발 등)
🔹 활용 팁: 정부 지원 창업 프로그램을 활용하면 초기 비용 부담 없이 안정적으로 부업을 시작할 수 있음
④ 기초생활 및 주거 지원
✅ 아이 돌봄 비용 지원 (아이돌봄서비스 바우처)
- 지원 대상: 맞벌이·한부모 가정, 저소득층 가정
- 지원 내용: 돌봄 서비스 이용료 50~90% 지원
✅ 주거비 지원 (청년·신혼부부 대상 포함)
- 지원 내용: 전세자금 대출 저금리 지원, 공공임대주택 우선 입주 혜택
🔹 활용 팁: 경제적 부담을 줄이면서 부업에 집중할 수 있도록 자녀 돌봄 및 주거 지원 제도를 활용하는 것이 중요
결론
정부에서는 초등학생 자녀를 둔 부모들이 경제적인 부담을 덜고, 안정적으로 자녀를 양육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 정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.
✅ 핵심 정리
- 초등학교 돌봄교실을 활용하면 부업을 하면서도 아이의 방과 후 교육과 돌봄을 해결할 수 있음
- 아동수당 및 교육 바우처를 활용하면 방과 후 학습비 부담을 줄일 수 있음
- 여성 창업 및 재취업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부업을 보다 체계적으로 운영 가능
- 아이 돌봄 서비스 및 주거 지원 정책을 활용하면 경제적인 부담을 덜고 부업에 집중할 수 있음
이러한 지원 정책을 적극 활용하면, 부모로서의 역할과 경제적 자립을 동시에 이룰 수 있는 기회를 만들 수 있습니다. 지금 내가 활용할 수 있는 지원 정책이 무엇인지 확인하고, 부업을 체계적으로 운영해보세요!